TCA-Dependency...DI,DIP를 곁들인
·
SWIFT개발
이전까지 글을 쓰고 글을 토대로 뷰와 Feature들에 대해 개발을 진행을 하였다. 규모가 점차 커졌고 나의 앱에서는 내가 여행중인 상태일때 coreLocation을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에 갓을때 어떠한 이벤트를 주어야하기에 DI, DIP에 신경을 써야했다. 현재는 얼렁뚱땅 기존처럼 manager파일로 관리를 하였지만 TCA에서는 client라는 이름을 붙혀 외부 의존성을 추상화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Dependency?- 먼저 의존성이 뭔지를 알아야 한다 . 한 객체에서 다른 객체의 기능을 필요로 할때 -> 그 객체에 의존하고 있다. ex) 어떠한 뷰모델에서 다른 뷰모델의 기능이 필요할때가 있다. 그래서 다른 뷰모델을 해당 뷰모델에서 생성하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의존하고 있다고 ..
TCA-3번째시간 Dependency
·
SWIFT개발
Dependency?= 의존성네트워크 통신, 유저디펄트, 키체인 등 의존성에 대한 관리 -> app 개발 전반에 영향을 미침을 우리는 알고 있다.스유의 프리뷰를 사용해보면 알겠지만 프리뷰에도 의존성을 주입해주어야 프리뷰를 사용할 수 있다. TCA Dependency는 개발에서 더 쉽게 관리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가 있다.먼저 요즘껏들을 알기 위해서는 역사를 알야아한다.ReducerProtocol 이전Environment라는 구조체에서 의존성 관리를 하였다. 우리가 아는 흔한 하나의 구조체에 사용해야되는 기능들을 다 넣어놓고 의존해주는 형식. 문제점: 어떤 뷰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어떤 하위뷰에서 사용하더라도 여기 안에 넣어놔야한다. ㅏㅗ 귀차나.새로운 의존성을 추가할때도 선언부터 초기화까지 수정하고..